인간완성 – 34. 저승이야기

나를 찾는길에 가장 명쾌하고 빠른 지침서

삼십사일째 날

저승은 왜 時, 空間이 없으며? 육체는 왜 죽으며? 진화는 왜 되나?

  1.  : 좀 늦었구나. 
  2. ♧ : 네, 일이 있었어요. 
  3.  : 그럼 시작할까? 
  4. 자연계의 기초단위 소립자(쿼크)에 대한 물리학계의 설명을 보면 모래알 크기의 원자핵이 야구장 가운데 있다면, 
  5. 먼지 같은 전자가 외야 펜스에서 구름처럼 떠 다니고, 그 외는 모두 빈 공간이라고 한다. 자연계는 거의 텅 비었다는 거지. 
  6. 그래서 지구가 블랙홀이 되면 직경 8mm 정도되고, 
  7. 원자를 태양계로 비교하면, 
  8. 태양의 직경을 1m로 볼 때 지구까지의 거리는 약 4km이며, 미세한 행성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빈 공간이라고 한다, 
  9. 태양계와 가장 가까운 센타우르스까지도 약 4.3광년이듯이 원자끼리 사이도 거의 텅 빈 공간이고. 
  10. ♧ : 예? 자연계가 이 정도로 ‘텅 비어’ 있어요? 
  11.  : 물론이다. 
  12. ♧ : 내 눈에는 모두 꽉 찬 것으로 보이는데요? 
  13.  : 네 눈은 그렇게 보이게 돼 있다. 
  14. ♧ : 왜 요? 
  15.  : 네 눈이 물체를 보고 색깔을 느끼며 구별하는 것은, 
  16. 보이는 상대 물질과 같은 질의 물질이 네 눈 세포에 있기에, 
  17. 빛 반사로 인한 ‘상대적(分)이지만 같은 질’이므로 인한 正分合원칙이 흘러 상대(分) 물체가 너에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18. ♧ : 아하! 그래요? 
  19.  
  20.  : 네 눈에 반사되는 빛만 느끼기에, 네 눈에 반사되지 않는 공간은 너에게 느껴지지 않아 보이지 않는 것이다. 
  21. ♧ : 그래서 텅 빈 자연계가 나한테는 ‘꽉!’ 찬 것으로 느껴지는군요. 
  22.  
  23.  : 인공위성에서 지구의 밤을 찍은 영상을 보면 도시가 불덩어리로 ‘꽉!’ 찬 거로 보이잖니, 빈 공간이 엄청 많은데도, 
  24. 이렇게 텅 빈 자연계에서 소립자, 원자, 분자 등이 ‘같은 목적’이 되어 서로 부딪치면, 그곳에는 질량과 구조에 따른 正, 分, 合 부딪침이 흐르고, 
  25. 그것은 각 소립자 위치의 제로(0)를 향한 회전궤도에 변화가 오는데, 그 회전궤도의 변화가 상대에 대한 반응이다. 
  26. ♧ : 그런데 이 이야기를 왜 해요? 
  27.  : 왜? 
  28. ♧ : 오늘은 저승 이야기하신다고 했는데요? 
  29.  :正分合 반복으로 시간과 공간이 생기는 자연계에 대해 너희가 알아야 正分合 반복이 없어 시간과 공간이 없는 저승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30. ♧ : 그래요? 
  31.  
  32.  : 소립자들은, 질량과 구조에 따른 개성(個性)이 있기에,
  33. ① (正) ‘같은 질끼리 같은 목적으로 움직일 때’
  34. ② (分) 질량과 구조에 따라 각각 다른 흐름을 일으키며, 
  35. ③ (合) 각각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 
  36. ♧ : 예. 
  37.  : 이렇게 소립자부터 시작된 양성자, 중성자, 전자, 원자, 분자, 물질의 반복된 正, 分, 合부딪침 과정이 자연계의 시간이다. 
  38. ♧ : 그게 시간이군요? 
  39.  : 다음은 마음계에 대한 설명이다. 
  40. 마음계(心界)는 자연계를 닮아 개체성이지만 무형(無形)이라 움직임의 원칙 3에 의해 소립자심(心)끼리의 부딪침인 正, 分, 合 반복이 없이 꽉 차 있다. 
  41. ♧ : 소립자심(心)은 무형(無形)이라 正, 分, 合 반복이 없군요. 
  42.  : 그러다가 유형(有形) 소립자가 소속이나 위치에 변동이 생기면 소립자심(心)도 동시에 따라가고. 
  43.  
  44. ♧ : 그렇다면 질량과 구조로 인한 정분합 부딪침은 유형(有形)에만 있나요? 
  45.  : 움직임의 원칙 3에 의해, 
  46. 1. 무형(無形)에는 3위1체 의식체(앎=意識體)인 핵(核) 구조만 앎의 질량이 있어 正, 分, 合 부딪침이 있고, 
  47. 2. 유형(有形)에는 3위1체 의식체 (意識體=두뇌)인 핵(核) 구조와 개체구조 모두에 질량이 있어 正, 分, 合 부딪침이 있다. 
  48.  
  49. ♧ : 그래요? 
  50.  : 이렇게 마음계와 영계는 움직임의 원칙 3에 의해 무형(無形)이기에 正分合 반복이 없어 시간이라는 과정이 없다. 
  51. ♧ : 그래서 마음계와 영계는 생각(念力)이 과정이 없이 동시에 현실로 나타나는군요. 
  52.  : 그래. 
  53.  [ 참 고 ]
  54. 중국에서는 ‘아무것도 없다.’고 할 때 ‘없을 무(無)’가 아닌 ‘몰유(沒有)’라 씁니다. 
  55. 중국에서는 무(無)라는 뜻이 ‘아무것도 없다.’가 아닌 ‘있기는 있으나 육체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다른 세계’를 뜻합니다. 
  56. 그리고 동양 사상에서는 우주의 근원인 하느님을 무극(無極)이라 합니다. 
  57.  
  58.  ♧ : 그러면 육체는 왜? 죽나요? 
  59.  : 육체는 正分合 반복으로 같은 질의 물질을 흡수하고 배출하며 존재한다.
  60. 1. 이때 흡수된 새 물질에 섞여 있는 ‘이질적 요소의 간섭’에 의해 세포 원형이 약간씩 흩어진다. 
  61. 너희가 서류나 사진을 복사할 때, 복사를 계속하며 회(回)를 거듭하면 서류의 글씨나 사진의 윤곽이 점차 흐려져 결국은 원래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게 되는 것과 같이, 
  62. 또 다른 예, 
  63. 2. 국가의 최고 수장인 대통령의 지시가 단계적으로 공무원을 거칠 때마다 각 공무원의 앎 질량 구조인 재량권에 따라 ‘이질적 요소의 간섭’으로 조금씩 변형되어, 
  64. 3. 말단에 가서는 원래 대통령의 지시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는 것’과 같다. 
  65. 이렇듯 육체의 세포분열도 正分合이 반복될수록 모습은 점차 다르게 되어 회(回)를 거듭할수록 어렸을 때의 모습은 사라지며, 병들거나 늙어 죽는 것이다. 
  66. 이렇듯 자연계에서 육체가 병들고 늙고 죽는 것은 자연계의 正分合(二分法) 반복으로 ‘이질적 요소가 간섭하기 때문’이다. 
  67.  
  68. ♧ : 그렇군요. 
  69.  : 이런 이질적 요소가 여건에 따라 ‘생명체 존재유지의 제로(0)’에 변화가 와 긴요하게 쓰이면, 그 생물은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진화한다. 
  70. ♧ : 네? 그러면 正分合 흐름에서 이질적 요소의 간섭이 생명체의 병이나 죽음을 가져오지만, 생명체 진화의 원인도 되네요? 
  71.  
  72.  : 한 가지 더 알려 줄까? 
  73. ♧ : 뭔데요? 
  74.  : 자연계에서는 너희들이 원하는 것이 여건에 따라 이루어지기도 하고, 이루어지지 않기도 해. 너희들은 결과에 연연할 수밖에 없다. 
  75. ♧ : 그렇지요. 
  76.  : 그런데 저승은 너희들이 무엇이든 원하면 동시에 이루어지기에 결과에 연연할 이유가 없다. 
  77. ♧ : 그렇겠지요. 
  78.  : 그렇기에 너희들이 자연계에서도 최선(0)은 다하지만, 결과에 연연하지 않으면(0) 그것은 전체성(0)을 체험하는 것이어서, 
  79. 너희들이 자연계에서 개체구조로서 전체성(0) 신(神)을 체험하는 순간이다. 
  80.  
  81. [ 참 고 ]
  82. 늙은 양의 세포를 떼어내 복제 양을 만들면 복제돼 태어난 양은 어린 세포의 양이 아닌 늙은 복제 양의 세포 나이로 태어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