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완성 – 64. 불교사상을 정리한 석가모니

나를 찾는길에 가장 명쾌하고 빠른 지침서

육십사일째 날

불교사상을 정리한 석가모니

  •  : 나왔냐? 오늘은 불교 사상에 대해서 알아보자. 
  • ♧ : 그러세요. 계속 대화가 기독교 쪽이라서 좀 거시기하니까요. 
  •  : 불교사상은 깨달음을 이루면 누구나 부처라 했으니, 석가모니 이전에도 부처는 얼마든 지 있었고, 석가모니 이후에도 누구나 깨달으면 부처다. 따라서 누구나 진리를 깨달으려 노력하면 그는 부처의 길을 가고 있는 것이고. 
  • ♧ : 그러면 부처는 ‘깨달은 사람’을 통칭하는 말이에요? 
  •  : 기독교의 ‘그리스도’도 마찬가지이다. 
  • ♧ : 기독교에서는 ‘하느님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라고 하던데요? 
  •  
  •  : 지금의 기독교에서는 ‘그리스도’를 그렇게 사용하고 있지만 원래 뜻은 그게 아니다. 그리 스도의 語源인 ‘메시아’라는 말은 원래 히브리어의 ‘하마시아’에서 유래한다. 하마시아는 ‘神이 기름 부은 자’라는 뜻이고, 신이 기름 부은 자란 ‘구세주’라는 뜻이다. 그 하마시 아가 그리스에 가서 ‘메시아스 ’가 되었고, 이것을 그리스어로 번역하면 ‘그리스도스 ’가 된 다. ‘예수 그리스도’는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구약시대에 메시아란 칭호는 사울, 다윗, 기레키아, 페르시아의 시라 등 왕들이나 승려들에게도 주었다. 그러므로 예수가 출현할 당시 유대인들이 기다리던 메시아 그리스도란, 로마제국으로부 터 유대민족을 해방시키고 유대왕국을 건설할 사람으로 알았으니, 이 기다림은 예수가 출현한 지 2,000년이 지난 지금도 예수를 부정하는 유대인들에겐 ‘시온이즘’으로 남아 있다. 그 후 이러한 ‘메시아’의 의미는 예언자나 신에 의해 특별임무를 부여받은 명칭으 로도 사용되었고, 기독교에 와서는 예수를 신격화하면서 또 다른 의미로 쓰이고 있다. 
  • ♧ : 그러면 그리스도라는 의미를 기독교에서 변질시켜 사용하고 있군요. 
  •  
  •  : 본래의 불교사상도 석가모니만이 부처가 아니고, 누구나 깨달으면 부처이기에 동양사회 에서 무당, 박수, 만신, 태주 등이 부처 그림이나 상(像)을 놓고 있는 것은, 석가모니를 상징한 것이 아니고, 점 (占) 보는 데 협조하는 죽은 영 (靈)의 ‘깨달음 목적’이다. 
  • ♧ : 그렇군요. 그러면 각 사찰에 있는 불상들은 뭐예요? 
  •  : 사찰마다 있는 불상은 불상을 안치한 사람 마음인데, 대개 사찰들은 스스로의 깨달음 목적이 아닌 나름의 부처나 보살이라고 명칭이 있더구나. 이것은 불교사상이 원래의 ‘깨달음 위주 ’에서 ‘잘 먹고 잘살기 위한 기복 (祈福) 사상 ’으로 변질되었기 때문이다. 
  • ♧ : 그러니까 불교사상도 원래의 ‘깨달음 사상’에서 ‘기복 사상’으로 취지가 변질되었네요. 
  •  : 불교만 그러냐? 기독교는 안 그러냐? 기독교 사상도 원래는 이해 양보의 사랑 체험인데 기복 사상으로 흐르고 있더구나. 
  • ♧ : 그런데 왜 다들 그렇게 변질된데요? 
  •  : 그게 다 너희 인간들의 수준이 낮아서 생긴 폐단이다. 
  • ♧ : 인간들의 낮은 수준 탓이에요? 
  •  : 물질적으로 잘 먹고 잘산다는 기복사상이 떡밥으로 섞여 있지 않으면 수준 낮은 너희들 은 깨달음에 관심이 없고, 잘 먹고 잘사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해야 관심을 가지니 어떻게 하냐? 그러니까 결국은 수준 따라 최선으로 수준 낮은 너희들이 그렇게 만드는 것이다. 어린아이에게 ‘에비 있다’가 우물가로 못 가게 하는 게 최선이듯이, 너도 가슴에 손을 얹고 반성해 봐라, 조금이라도 그런 바람이 없나를. 
  • ♧ : 에구구, 듣고 보니 좀 쑥스럽네요. 
  •  
  •  : 이렇듯 불교사상은 개개인 스스로의 깨달음 위주이기에 특정 신(神)과의 뜻(목적) 합일 (合一)이 아니다. 이러한 불교사상이 2,500여 년 전 석가모니 이전에는 960여 개의 종파가 비슷비슷한 주장으로 난맥을 이루고 있었다. 이때에 석가모니가 나타나 깊고 넓게 하 나로 정리하여 단일 불교사상이 되었다. 
  • ♧ : 아, 그러니까 불교사상은 석가모니가 느닷없이 나타나 발표한 게 아니었군요? 
  •  : 인류역사 앎의 성장 과정이 그렇듯, 불교사상도 석가모니가 느닷없이 나타나 발표한 게 아니고, 여기저기서 발전한 사상을 석가모니가 한 단계 상위 개념으로 정리한 것이다. 
  • ♧ : 유일신 사상도 이스라엘민족을 거쳐 기독교로 발전했듯이요. 
  •  
  •  : 이제 본격적으로 석가모니가 설파한 아함부 12년, 방등부 8년, 반야부 21년, 법화부 8년=총 49년 내용을 살펴보자. ① 초등학교 수준인 ‘아함부의 구사학’엔 삼세실유 제법항존 (三世實有諸法恒存 )이라 하여 우주의 모든 것은 ‘사실 그대로 있는 것 ’이라 했다. ② 그러나 중학교 수준인 ‘방등부의 성실론과 삼론’에서는 우주는 ‘모두 빈 것 (空=0=제법 개공= 諸法皆空 )’이라고 했으니, 이렇게 초등학교 수준에선 모든 것은 “사실 그대로 있 는 것이다. ”라고 긍정했던 것을 중학교 수준에서는 “사실 모든 것은 없는 빈 (空) 것이 다.”라며 부정했다. 그런데 이 과정은 앎을 깨우쳐 주는 二分法으로, 수준 낮은 초등학생들에게 처음부터 ‘우주는 빈 것 ’이라고 하면 알아듣지 못하기에, 처음에는 “우주는 사실 그대로 있는 것이다.”라고 했다가, 앎이 어느 수준에 이르자 正, 分, 合 원칙인 상대성 (分=二分法 )을 가르친 것이다. 
  • ③ 그러고는 다시 고등학교 수준인 ‘반야부의 유식학 ’을 보면, “우주 만물이 사실은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다.”라고 하여, 부정도 긍정도 아닌 공 (空)과 유 (有)가 하나라 고 하는 색즉시공 공즉시색 (色卽是空空卽是色 )의 중도사상 (中道思想 =二分法 )이 된다. 
  • ♧ : 그 유명한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라는 말이 그거예요? 
  •  : 들어본 적이 있구나. 
  • ♧ : 그럼요. 
  •  : 그랬다가 , ④ 대학 수준인 ‘법화경’ 화엄경의 ‘10지론’, ‘기신론’, ‘화엄론’ 등에 가면, 다시 ‘우주는 있는 그대로가 법=진리=사실’이라고 했다. 우주의 모든 것은 있는 그대로가 법으로서 변치 않고 있다는 것이다(시법주법위 세간상상주 = 是法住法位世間湘常住 ). 
  • ♧ : 처음 초등학교 수준에서 “우주의 모든 것은 사실 있는 그대로다.”라고 했다가, 대학 수준 에 와서 다시 “우주는 있는 그대로가 법이다.”라고 했다면 결국 같은 이야기 아닌가요? 
  •  : 석가모니가 대학 수준에 가서 다시 “우주가 곧 진리이다.”라고 한 것은, 초등학교 때의 “우주의 모든 것이 사실 그대로 있는 것이다. ”라는 것과 다르니, 
  • 1. 초등학교 수준에서 말한 긍정은 부정 (分=과정)을 거치지 않은 긍정 (正=원인)이며, 
  • 2. 대학에 올라와서 모든 것이 사실 그대로라고 하는 긍정은 부정 (分=과정)을 거쳐 깨우친(성장) 긍정(앎= 合=결과)이기에 초등학교 수준과는 차원이 다른 긍정이다. 
  • ♧ : 결국 한 바퀴 돌았네요, 
  •  
  •  : 또 모든 인간은 똑같이 무지 (無知)로 태어나 깨달음의 과정에 차이가 있을 뿐임을 화엄경에서 밝혔으니, 모든 인간은 성불할 수 있는 똑같은 재료(금으로 비유)인데, 다만 닦고(깨달 
  • 음), 안 닦고 (無知)의 차이 뿐이라고 했다. 
  • ♧ : 네에. 
  •  : 그리고 깨달으려 할 때는 반드시 주의해야 할 4가지가 있다고 했으니, 첫째, 진리를 들을 때 말이나 글자에 얽매이지 말고 그 뜻에 의지하라. 둘째, 기존 사회 상식에 얽매이지 말고 지혜(깨달음=영의 느낌= 直觀 )에 의지하라. 셋째, 말하는 사람의 인격에 대한 선입관을 갖지 말고 그 사람의 말에만 의지하라. 넷째, 불경 중 화엄경 80권인 요의경만이 문제이고 모든 다른 불경은 화엄경의 수준까지 이끌기 위한 것이니, 요의경에 이르면 그때까지 알고 있던 모든 것을 버리고 요의 경에만 의지하라. 
  • ♧ : 맞는 말인데 쉽진 않지요. 
  •  : 어느 정도 기초가 있으면 ‘의미가 이어져’ 알아듣기 쉽다. 
  • ♧ : 그래요? 
  •  : 그래서 새 시대의 첨단인 지금 여기저기서 正, 分, 合 원칙과 비슷비슷한 이야기들이 나와 사람들의 앎을 키우고 있는 것이다. 
  • ♧ : 그래서 요즈음 저승의 영혼들이 인류에게 뜻을 전하는 영적 서적들이 여기저기서 쏟아져 나오고, 또 사람들도 그런 쪽으로 관심을 갖는군요. 
  •  : 그렇다. 그 모두가 때가 되어 나타나는 당연한 현상이다. 
  • ♧ : 그러나 그런 서적들이 봇물 터지듯 나오는 것이 혼란으로 이어져 반드시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닌 거 같던데요. 
  •  : 물론, 저승 영들의 수준이 천차만별이기에 그렇기도 하지만, 크게 보면 그런 책들의 등 장으로 새로운 앎에 대해 사람들의 마음이 열리게 분위기가 바뀌는 게 중요하다. 기독교의 성령활동이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지만 그래도 하느님의 섭리가 있다는 걸 느끼 게 하는 게 중요하듯이. 
  • ♧ : 그렇군요. 
  •  
  •  : 누구나 새로운 진리를 받아들이려면 우선 마음부터 열려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 증거 로, 새로운 진리를 이해하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 알아보자. 석가모니를 따라다니던 제자가 있었다. 그런데 당시에는 육체가 쇠약해져야 그에 비례하여 정신력이 강해진다고 생 각했으니, 이것은 지금도 그 지역에서 상식으로 통한다. 
  • ♧ : 육체가 쇠약해져야 정신력이 강해진다고요? 건강한 육체에 건강한 정신이 깃드는 거 아닌가요? 
  •  : 목적 없이 육체가 쇠약해지면 그렇지만, 정신력을 키우기 위해 육체를 쇠약하게 하는 것은 목적이 정신집중이기에 효과가 있다. 그래서 성경에도 엘리야나 모세나 예수나 ‘하느님 (神) 과 뜻(목적)을 하나 (合一)로 하기 위해 정신력을 키우는 40일씩의 단식’이 있었던 것이다. 
  • ♧ : 맹목적으로 육체가 쇠약해지는 게 아니라, 전체성 (0) 에 집중한 육체 쇠약은 영의 진화에 도움이 된다는 거네요? 
  •  : 그래서 석가모니도 진리를 깨닫기 위해 6년간 악의악식 (惡衣惡食 )과 단식을 했다. 개체욕 망의 부정을 실천하는 과정이지. 
  • ♧ : 갈비뼈가 드러나도록 6년간 고행을 했다는 거요. 
  •  : 그런 고행 끝에 드디어 깨달은 석가모니는 ‘있으면 있는 대로 없으면 없는 대로’의 생활을 했지. 그런 석가모니를 이해 못 한 제자 하나가 어느 날, “선생님 깨달음의 길을 가기 위 해서는 악의악식을 해야 하는데 어째서 선생님은 호의호식하십니까?” 하고 따졌다. 그 러자 석가모니는 “내가 호의호식하는 것이 나와 무슨 관계가 있느냐?”라고 대답했다. 
  • ♧ : 제자 말이 맞는 거 아니에요? 
  •  : 석가모니의 대답은 내가 먹고 입는 것은 욕심이 있어 집착함이 아니고, 누가 갖다 주니 까 그냥 생겨서 입고, 그냥 생겨서 먹는 건데, 그게 나와 무슨 상관있느냐? 는 것이다. 호의호식에 미련과 집착이 있어서 입고 먹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 ♧ : 그런 뜻인가요? 
  •  : 결국 석가모니가 6년 고행으로 깨달은 것은 나의 모든 것이 외부(밖)에 있는 게 아니라, 내부인 내 마음 (一切唯心造 )에 있다는 것이었지. 
  • ♧ : 아, 비슷한 이야기가 생각나네요. 
  •  : 뭔데? 
  •  
  • ♧ : 원효가 의상과 같이 중국으로 가다가 온종일 걸었더니 피곤해서 그런지 밤중에 자다가 목이 말라 여기저기 더듬다가, 웬 그릇에 물이 가득 담겨 있기에 벌컥벌컥 맛있게 마셨는데 그렇게 시원할 수가 없었다잖아요. 잘 자고 아침에 일어나 어젯밤에 무슨 물을 먹 었기에 그렇게 시원했나? 하고 둘러보니, 옆에 빈 해골이 뒹굴고 있더래요. 그걸 보고 원효는 깜짝 놀라 더러운 생각이 들어 먹은 걸 모두 토했다지요. 
  •  : 그래서? 
  • ♧ : 어제 모르고 먹을 때는 그렇게 시원했던 물이, 해골에 있던 물이란 걸 알고는 구토가 생 겨 전부 토한 이유를 생각하다가, 그 원인이 스스로의 마음에 있음을 알고는 一切唯心造(모든 것은 내 마음에 있다.)라고 했다는군요. 
  •  : 그래서? 
  • ♧ : 그래서 중국으로 가던 원효는 중국에 가서 배우는 게 문제가 아니라 모든 게 내 마음임 을 깨우쳐, 중국에 가는 것을 걷어치우고 조국에서 유명한 승려가 되었고, 의상은 그대로 중국으로 갔다고 하지요. 
  •  : 일본에 있는 원효와 의상에 대한 행적의 기록에는 원효와 의상이 밤중에 어느 굴속에 들어가 잠을 자고 일어나 보니 그 굴은 무덤에 파여 있던 여우굴이었단다. 다시 하루를 더 묵게 되어 그 굴에서 자게 되었는데, 무덤 속의 굴이라는 것을 알고 난 원효가 밤새 귀신 꿈에 잠을 설쳤고, 그 후 원효가 깨닫기를 ‘같은 무덤 속의 굴인데 모르고 잘 때는 그렇게 좋았는데 무덤 속이란 걸 알고 난 후는 밤새 귀신 꿈에 잠을 설친 것’에 대해 생 각하다가, 그 이유가 자기의 마음가짐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一切唯心造 ’를 깨달았 다고 한다. 어쨌든 같은 뜻이니 왈가왈부할 건 없다, 그 결과 원효는 중국에 가지 않았 지만, 깨달음의 수준이 대단해 요즈음은 서양에서 원효의 진리를 연구하는 모임까지 생 기고 있다. 
  • ♧ : 원효의 깨달음 수준이 높긴 높았나 보지요? 
  •  : 그렇게 간단한 것에서도 큰 깨우침을 얻을 정도로 영성이 풍부했으니 그 이후의 깨달음 
  • 이야 어땠겠냐? 
  • ♧ : 아까 석가모니에게 질문했다는 그 제자는 뭐라고 했대요? 
  •  : 아무 말 없이 그냥 보따리 싸더니 갔단다. 석가모니의 그 답변을 알아듣지 못한 것이지. 
  • ♧ : 그랬군요. 
  •  : 이렇게 깨달음의 길은 백지 한 장 차이지만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