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완성 – 38. 수준이 천차만별인 영혼들

나를 찾는길에 가장 명쾌하고 빠른 지침서

삼십팔일째 날

수준이 천차만별인 이승과 저승의 영혼들

  •  : 나왔냐? 
  • ♧ : 네 어제 뉴스를 봤는데요, 우리가 감정을 느끼는 건 두뇌에서 호르몬이 나와서래요. 
  •  : 그런데? 
  • ♧ : 그럼 두뇌에서 호르몬이 안 나오면 감정이 안 생긴다는 거 아니에요? 
  •  : 그래서? 
  • ♧ : 그렇다면 우리가 감정을 느끼는 건 두뇌의 작용일 뿐, 마음체가 느끼는 게 아니란 거지요, 
  •  : 그렇게 되나? 
  • ♧ : 그럼요. 
  •  
  •  : 허, 그렇게 말하니 말 되네. 하지만 잘 들어라. ① 인간의 육체는 ‘스스로를 느끼기 위한 하느님의 목적 (正)’이, ② 원칙에 의한 오랜 과정을 거쳐 (分), ③ ‘느낄 수 있는 구조’로 진화한 최종적 결과 (合)다. 그리고 마음체는 기쁨, 슬픔, 두려움, 괴로움, 분노 5가지 느낌이고, 결국, 육체의 진화 방향은 ‘마음체의 5가지 느낌을 느낄 수 있는 구조’였다. 
  • ① 이렇게 진화된 호르몬의 원인 (正)이 마음체의 5가지 느낌이었기에, 
  • ② 결과(合)로 나타난 호르몬으로, 원인인 마음체의 5가지 느낌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正, 分, 合 원칙이 원인(正)과 결과(合)는 하나이기에. 
  • ♧ : 정리가 명쾌하네요. 다음 이야기 하셔도 되겠네요. 
  •  
  •  : 어제는 영혼이 영계에 머무는 것은 개체의식을 벗는 과정이라고 했다. 
  • ♧ : 네. 
  •  : 그런데 영계에 가면 영계에도 태양이 있다. 
  • ♧ : 네? 영계에도 태양이 있어요? 
  •  : 그래. 자연계의 태양은 영계 태양의 표상이거든. 
  • ♧ : 그래요? 
  •  : 그리고 영계의 태양은 어느 영이든 항상 앞쪽에 있다. 영 넷이 한 곳에서 사방으로 등을 대고 서면 각자의 앞에 태양이 보인다. 
  • ♧ : 예? 어떻게 그래요? 
  •  
  •  : 영계의 태양은 우주 자체로서 무한(0)한 영계핵(하느님)이시기에 우주에 꽉 찬 충만한 존재인데, 너희들의 의식이 개체성을 벗지 못해 개체로 느끼는 것이다. 
  • ♧ : 아, 그래요? 
  •  : 마음계에서도 인습을 더 벗은 계층은 영계에 더 가깝고, 영계에서도 개체의식을 더 벗은 계층은 영계핵에 더 가깝다. 그 결과 허물을 더 벗은 영일수록 영계핵(하느님)과 같은질이어서 같은 목적 (合一)이 흘러, 正,分,合 원칙에 의해 영계핵의 빛(사랑)이 그만큼 투사 (投射)된다. 
  • ♧ : 아, 그래서 천사는 흰옷 입고 나타나는군요, 
  •  : ① 따뜻한 태양 빛이 자연계 모든 생명체의 생명소(素)이듯, ② 영계의 태양인 영계핵 (하느님)의 따뜻한 빛(사랑)이 모든 영의 생명소이다. 그래서 영계에서는 영계핵(하느 님)의 빛(사랑)을 얼마나 많이 받아 투사(投射)하느냐 하는 것이 곧 모든 영들의 존재 의미이며 기쁨이다. 
  • ♧ : 자연계의 태양이 영계 태양의 표상이라는 게 이해되네요. 
  •  : 이렇듯, ① 우주에 스스로 빛나시는 분은 영계핵(하느님) 한 분 뿐이시고, ② 인간영들은 영계핵(하느님)의 빛(사랑)을 받아 투사(投射)하는 존재들이다. ③ 이렇게 창조주 영계핵(하느님)은 태초부터 한결같이 모든 인간에게 영원하고 무한(0) 한 사랑을 보내고 계신다. ④ 인간들 스스로가 얼마나 영계핵(하느님)과 하나(같은 질=合一)되어 빛을 많이, 짙고 풍부하게 받아 투사(投射)하느냐가 문제이다. 
  •  
  • ♧ : 그러면 결국 하느님이 우주를 창조하시고, 우리가 찾아오기를 기다리시는 거네요? 
  •  : 그렇다! 공은 너희들에게 넘어간 상황이지. 
  • ♧ : 자연계에서는 육체의 본능과 영혼의 본능에 따라 여러 가지로 바쁜데, 저승에 가면 육 체의 5가지 본능이 사라지고, 무엇이나 내 마음대로 되는데, 그러면 시간이 남아돌아 지루할 것 같은데요? 
  •  : 그런 생각도 들겠다. 너희들이 움직임의 원칙 1, 2에 의해 같은 질끼리 같은 목적이 되어 어울리듯 저승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흔히 처음 마음계에 가면, 자연계의 습관대로 밥도 먹고 잠도 잔다. 그러다가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며 그런 인습이 필요없어 사라지고, 처음에는 자연계에서의 인과관계에 따라 주로 친·인척이나 조상들과 어울린다. 하 지만 그곳 생활에 익숙해지며 앎의 질량이 달라지면 “친구 따라 강남 가듯이. ” 그 달라 진 비중에 따라 어울리는 계층이 달라지기도 한다. 
  •  
  • ♧ : 그러면 결국 저승도 인과관계 (正分合 흐름)가 자연계와 똑같네요? 
  •  : 그렇다. 正,分,合 원칙은 하나이기에 저승의 인과관계도 자연계와 똑같다. 
  • ♧ : 그래도 지루할 것 같아요. 밥도 안 먹고, 일도 안 하고. 
  •  : 그건 네가 자연계 개념으로 생각해서 그렇다. 저승은 正,分,合 반복이 없어 시간과 공간이 없다고 했지. 
  • ♧ : 네. 
  •  : 그래서 제한받음이 없는 념 (念=생각)의 세계라 했고. 
  • ♧ : 네, 그랬지요. 
  •  
  •  : 그래서 너희가 어떤 념(念=생각)에 잠기면 제한받음 (正,分,合 부딪침)이 없기에 그 념(念=생 각)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니까 지루할 틈이 없다. 항상 네가 원하는 어떤 념(念=목 적=느낌)에 잠겨 있으니까. 예를 들면, 네가 무슨 생각에 잠겨 몰두하다가 시간 가는 것 을 느끼지 못한 경험, 그래서 네 느낌으로는 잠깐이었는데, 실제 시간은 생각보다 많이 흘렀던 경험! 
  • ♧ : 예에. 
  •  : 저승은 누가 너를 건드리기 전에는 正,分,合 부딪침이 없어 네 나름의 어떤 념(念=생각)에 잠겨 있기에 지루하지 않다. 그래서 이런 일이 생긴다. 자연계에서 육체가 죽으면 그 만인 것으로 착각해 괴로움을 피하려고 누가 자살한다면, 저승에서는 괴로움이 사라 지는 게 아니다. 왜냐하면, 그 사람은 스스로 죽었다고 여겨 마음을 닫고 괴로운 념 (念) 에 갇히게 된다. 
  • ♧ : 저런? 그러면 어떻게 해요? 
  •  : 그런 자살영을 누가 건드리거나, 깨우쳐 줘, 잠긴 념 (念)에서 벗어나게 하면 된다. 그래서 저승에 대한 앎이 중요하고, 죽는 순간이 대단히 중요하다. 
  • ♧ : 그러네요. 
  •  
  •  : 이건 자살자를 예로 든 거고. 正,分,合을 몰라 저승을 이해 못 해 념 (念=嶪)에 매여 이승에서 떠도는 영들도 마찬가지이다. 
  • ♧ : 그럼, 저승에 대해 이해하면 념 (念=업)에 갇히는 것에서 벗어날 수 있나요? 
  •  : 그럼, 너희가 正,分,合을 알아 意識이 제로(0)에 있으면 어떤 상황에서도 ‘존재 목적의 제로(0)’를 중심으로 모든 상황이 객관적(0)으로 보인다. 
  • ♧ : 어쨌든 저승은 모르면 스스로의 념 (念=업=생각)에 갇힐 수 있다니 무서운 곳이군요? 
  •  : 몰라서 무서운 거지, 알면 하나도 무서울 게 없다. 모르면 이승에서는 무섭지 않냐? 이 승에서도 모르면 손에 쥐어 줘도 모르고, 업은 아기 삼년 찾으며, 언제까지나 맨땅에 헤딩하며 삽질 하는데. 
  • ♧ : 예? 신이 맨땅에 헤딩은 뭐고 삽질이 뭐예요. 
  •  : 안타까워 그런다. ① 저승에 대한 이해가 너무 없거나, ② 어떤 념(念=업=집착)에 매여 이승(자연계)을 떠나지 못하는 영들은 또 어쩌냐? 
  • ♧ : 예? 그런 영들도 있어요? 
  •  : 그런 영들은 이승을 떠돌며 빙의령이 되어 갖가지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하고, 또는 다시 태어나기도 한다. 
  • ♧ : 예? 그런 영들이 다시 태어나요? 그럼 환생인가요? 
  •  
  •  : 그렇다. 환생(재생)의 원인에는 두 가지가 있다. 
  • ♧ : 환생의 원인이 두 가지예요? 
  •  : 하나는 죽은 영이 죽으면 그만인 걸로 알고 흐린 의식(意識)으로 저승을 떠돌 때, 자연계에 새로 태어난 아이의 개성과 체질이 떠도는 영과 필요한 만큼 같은 질이면, 그곳에 움직임의 원칙 1, 2, 3이 흘러 같은 목적이 되어 나도 모르게 아이의 육체에 스며들어 환 생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자연계에 떠돌든, 마음계에 있든, 영계에 있든, 영계핵에 있 든, 어떤 영이 자기 나름의 이유가 있어서 자연계에 다시 태어나려는 의지(意志)가 있을 경우다. 
  •  
  • ♧ : 네 그래요? 그럼 자연계에서 무당이나 박수에게 협조하며 점 (占)을 보아주는 영들은요? 
  •  : 그 영들은 지금 이야기한 영들과는 자연계에서 활동하는 의미가 전혀 다르다. 그들은 통 계학인 사주, 관상, 손금, 성명 철학 등에 대한 앎이 있거나, 또는 영력이 예민하고 집중력이 뛰어나 점 손님의 앎 (意識 )이나 영계핵(하느님)의 전지 (全知 )에서 그 사람의 과거나 미 래를 찾아내기도 한다. 그러나 그들은 육체가 없어 자연계 인간들과 대화가 안되기에 차선책으로 육체를 가진 인간을 선택해 협조하는 것이다. 
  • ♧ : 그들의 활동 의미는 환생과 전혀 다르네요. 
  •  : 그렇다. 그들은 나름대로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있다. 
  •  
  • ♧ : 예? 그들에게 자부심과 긍지가 있어요? 
  •  : 처음부터 이야기하자면, 태초부터 조상령으로 활동한 그들이 있었기에, 인류에게 육 체가 죽은 후에 저승이 있다는 앎이 생성될 수 있었고(샤머니즘) , 그것이 바탕이 되어 6,000여 년 전 하느님의 인류 앎 성장 과정이 시작될 수 있었고, 또 아픈 사람들이 의 사를 찾듯이 미래가 불안하거나 마음이 아픈 사람들이 오면 도와주기에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 
  • ♧ : 그런데 점술가가 영계핵(하느님)의 전지 (全知 )에서 미래를 엿보기도 한다고 하신 것은 뭐예요? 
  •  : 오 그것은 하느님의 전지 (全知=앎)에서 점 보러 온 사람의 부분을 찾아(같은 질)내는 것을 말한다. 
  • ♧ : 예? 하느님의 전지 (全知 )에서 미래를 엿봐요? 
  •  : 그래 그런데 하느님의 전지 (全知 )는 무한(0) 해 찾기가 쉽지 않아 그들은 집중력을 키우기 위해 기도나 명상을 한다. 
  • ♧ : 예에, 그렇군요. 
  •  
  •  : 그리고 이 하느님의 전지 (全知 )가 가끔 너희들에게 나타나는 ‘기시감 (旣視感 )’인데 이 기시감을 서양에서는 ‘데쟈부’라 한다. 
  • ♧ : 네? 서양에서 데쟈부라고 한다는 기시감 (旣視感 )이 뭐에요? 
  •  : 이 현상은 누구나 특히 영혼이 맑을 때(특히 어릴 때) 가끔 겪는데, 네가 살아오며 그때까지 절대 겪지 않은 상황인데, 순간적으로 꼭 어디서 겪은 것 같은 느낌이다. 그래서 혹시 전생 기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명확하게, 그러나 아무리 생각해봐도 지금 느껴지는 이 순간이 그 옛날 똑같은 문명과, 똑같은 여건이 있었을 리 없고, 또 있 었다 해도 어떻게 이토록이나 완벽하게 똑같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되는 현상이다. 
  • ♧ : 네 맞아요. 저도 어렸을 때 가끔 그런 일이 있었는데, 이 느낌이 동 ·서양을 막론하고 누 구나 보편적으로 느끼는 현상이란 말이에요? 
  •  : 그렇다. 이 현상은 태초에 하느님께서 ‘느끼기 위한 목적’을 정하신 찰나, 무한 (無限=0)히 흐를 우주의 모든 과정이 하느님의 전지 (全知=앎)에 기록되어 있고, 그 결과, 네가 태어나 서 느끼는 모든 느낌 역시 하느님의 앎(全知 )에는 이미 완전히 기록되어 있으며, 지금의 너는 드디어 네 차례가 되어 태어나, 너의 몫이 현실화되며, 실체적으로 느끼는 것이다. 그렇기에 기시감인 ‘데쟈부 현상’은 이미 하느님에게 앎(全知 )으로 기록되어 있는 각자의 몫이, ① 완전히 같은 질이지만, ② 전체성(0)의 3위1체 의식체(意識體) 하느님과, ③ 개체성 의 3위1체 의식체(意識體) 네가, ④ 상대적(分)이기에, ⑤ 객관화되어 순간적으로 느끼 는 체험이다. 
  • ♧ : 아, 그게 그런 거예요? 사실 저도 그게 상당히 궁금했거든요. 분명한 것은 무슨 헛것을 본 것도 아니고. 
  •  : 그래 그렇다. 이 현상은 순간적으로, 네가 어딘가에 몰입 (沒入)해 무아지경 (無我之境 )이 되어, 개체의식이 빈(0=空) 순간에 일어난다. 왜냐하면, 움직임의 원칙 5에 의해 육체(두뇌) 느낌이 우선이지만, 무아지경 (無我之境 )일 때에는 우선인 육체(두뇌) 의식을 벗어난 빈 (0) 순 간이기에 그런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시감인 ‘데쟈부 ’는 언제나 순간적이다. 왜냐하면, 그 현상을 느끼는 순간 “이게 뭐야?” 하며 네가 깜짝 놀라면, 너는 어느새 다 시 육체 의식으로 돌아와 움직임의 원칙 5에 의해 순간적으로 사라지기 때문이다. 
  • ♧ : 와! 그게 그렇군요. 
  •  
  •  : 그건 그렇고. 아까 점술 (占術)로 활동하는 영들은 긍지와 자부심을 갖고 있다고 했지. 
  • ♧ : 네, 그러셨지요? 
  •  : 대개 점술을 보러 가는 사람들은 미래가 불안하거나 답답한 일이 있어서 간다. 
  • ♧ : 그렇겠지요. 
  •  : 그 경우 점술을 봐주는 영은 그 사람을 답답함이나 불안감에서 다소나마 벗어나도록 조 언해주고, 그렇게 조언을 들은 사람은 조금이라도 마음이 가라앉아 편안해진다. 그래서 그들은 자기들이 세상 사람들을 도와주고 있다며 긍지와 자부심을 느낀다. 아픈 몸을 치료해주는 의사가 긍지와 자부심을 갖듯이. 
  • ♧ : 그렇기도 하겠네요. 그런데 어떤 무당은 사업을 성공하게 해 줄테니 ‘재수 굿’ 하라고 해 서 돈 들여 굿을 했는데도 사업이 망하더라고요. 그래서 왜 ‘재수 굿’을 했는데도 사업이 망하냐고 했더니 정성이 부족해서 그러니까 한 번 더 하래요?’ 
  •  : 그건 네 말이 맞다. 자연계의 인간들이나, 의사들도 수준이 천차만별이듯이, 저승의 영들도 수준이 천차만별이어서 수준에 따라 여러 가지 부작용이 일어나는 것이다. 고급 영일수록 너희에게 굿을 권하지 않는다. 
  • ♧ : 오늘은 이야기가 좀 길어도 별로 어렵지 않고 재미있네요. 
  •  : 사업 잘되게 해달라고 ‘고사’ 지내지 마라. ‘고사’ 지내면, 그곳에 자연계를 떠도는 귀신들이 모여들어 자리잡고 행세하다가, 무슨일이 생겨 고사를 못 지내면, 그들은 배신감으로 오히려 ‘해코지 ’하기도 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수준 낮은 인간들이 죽어 떠도는 영들 도 있기 때문이다. 요즈음은 거의 없어졌지만, 마을의 당나무나 서낭당도 마찬가지이다, 귀신을 대우해주면, 여러 잡귀가 꼬이게 돼 있고, 그들은 모두 인간영이기에 수준 따라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 ♧ : 인간들과 마찬가지로 저승의 귀신들도 천차만별이라니 정신 차려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