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완성 – 36. 본격적인 저승의 해부

나를 찾는길에 가장 명쾌하고 빠른 지침서

삼십육일째 날

본격적인 저승의 해부

  • ♧ : 저 왔어요. 
  •  : 그래, 기다리고 있었다. 오늘은 正, 分, 合 원칙이 무형 (無形)의 저승에서는 어떻게 흐르 는지에 대한 것으로, 저승에서의 영적 진화는 어떻게 진척되고, 너희는 그곳에서 어떻게 지내며, 영계핵인 하느님과 너희의 관계와, 그에 따른 삶의 의미는 어떻게 되는지에 대 한 이야기이다. 사실 사람들은 저승에 있다는 천국에 대해 그저 ‘막연히 좋을 것’이라고 생각할 뿐 구체적으로 어떻게 좋은지, 너희는 그곳에서 어떻게 느끼고 존재하는지에 대 해 전혀 모르고 있다. 그 외에도 지옥이 진짜 있고, 또 있다면 지옥은 어디에 있고, 왜 생겼는지, 그리고 어떤 사람들이 지옥에 가고, 또 지옥에서 빠져나오고 싶으면 방법은 없는가? 하는 등 모든 문제에 관한 이야기이다. 
  •  
  • ♧ : 듣고 보니 모두 제가 궁금하던 거네요. 
  •  : 육체의 기능이 멈추면 너희는 움직임의 원칙 5에 의해 마음계가 보이며 존재하게 된다. ♂ : 육체가 죽으면 마음계에 존재하게 돼요? ♧ : 그렇다. 하느님인 大우주가 자연계, 마음계, 영계, 영계핵이 겹쳐 있듯. 소우주인 너희도 大우주에 육체, 마음체, 영체, 영핵이 겹쳐져 있다가 육체가 죽으면 의식(앎=영핵) 수준에 따라 영계나 영계핵까지도 가지만 흔히 마음계가 보여 머물게 된다. 
  •  
  • ♧ : 그러면 육체가 벗겨지는 거네요? 
  •  : 육체는 正, 分, 合 반복으로 기능이 소멸되며 벗겨지지만, 마음계와 영계는 무형(無形)이기에 正, 分, 合 반복이 없어 너희가 마음계와 영계를 벗어나는 원인과 과정은 움직임의 원칙 3에 의해 다르다. 
  •  
  • ♧ : 예? 마음계와 영계를 벗어나는 원인과 과정이 육체와 달라요? 
  •  : 그렇다. 
  • ♧ : 어떻게 달라요? 
  •  : 움직임의 원칙 3에 의한 여건이 있다. 
  • ♧ : 예? 여건요? 
  •  : 마음계는 무형 (無形)이지만 자연계와 같은 개체성이어서, 너희가 자연계에 살 때 형성된 개체성 인습 (因習)이나 념(念=생각)으로 인해 머무는 곳이다. 正, 分, 合 한계로 제한이 따르는 자연계에서 인습 (因習 )으로 굳어진 습관이나 체면, 이해타산, 가식 행위 등이다. 그러나 마음계는 무엇이나 너희가 생각하는대로 순간 이루어지기에 제한받음으로 인해 생겼던 자연계의 인습은 차츰 사라진다. 그래서 습관이나 이해타산, 가식행위, 체면 등 개체성 인습이 거의 없던 원시인이 이 점에서는 너희보다 훨씬 유리하다. 
  • ♧ : 아 마음계는 正, 分, 合 부딪침이 없어 ‘제한받아 생겼던’ 자연계의 인습 (因習 )이 차츰 사라지는군요. 
  •  : 그래. 
  • ♧ : 그러면 어떻게 돼요? 
  •  : 그러면 움직임의 원칙 5의 순서에 따라 너희는 다음 단계인 영계에 머물게 된다. 
  • ♧ : 그러면, 머무는 곳만 느끼겠지요? 
  •  : 왜? 
  • ♧ : 육체니까 같은 질의 자연계를 느끼고, 마음체니까 같은 질의 마음계를 느끼고, 영체니까 같은 질의 영계를 느끼고, 영핵이니까 같은 질의 영계핵(하느님)을 느끼는 거 아닌가요? 육체 눈으로 마음계가 보이지 않듯이, 마음체 눈으로는 자연계가 보이지 않겠지요? 
  •  : 아니다. 상위는 하위가 포함된 것이기에, 마음계 영계 영계핵도 상위로 올라갈수록 하위가 포함된 것이어서 너희가 저승에 갔을 때, 하위는 상위가 보이지 않지만, 상위는 하위가 보 인다. 회사에서도 핵 (核)인 사장과 앎의 질량 구조가 가까울수록, 그만큼 하위계급 일이 보 이고 느껴지잖냐? 그것은 상위계급의 앎은 하위계급의 앎을 알고 있기(포함) 때문이다. 반면, 하위계급일수록 상위 계급의 앎이 없어 상위계급의 일이 보이지 않고 느껴지지 않는 거다. 
  • ♧ : 네에…, 그렇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