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완성 – 35.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 의미

나를 찾는길에 가장 명쾌하고 빠른 지침서

삼십오일째 날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 의미와 이승과 저승의 앎 성장 차이

  • ♧ : 저 와 있습니다. 
  •  : 나왔냐, 그럼 시작하자, 
  • 자연계는 소립자부터 시작된 正, 分, 合 반복마다 질량 구조에 따른 물리적 한계가 드러나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이 있지만, 
  • 저승은 너희들의 생각(念)이 동시에 현실로 나타난다고 했다.. 
  • ♧ : 그러게요, 정말 좋겠어요, 무엇이든 내 맘(생각)대로 된다니 얼마나 좋아요. 
  •  : 그래 불편한 자연계와는 전혀 딴판이지. 
  •  
  • ♧ : 그러면 불편한 자연계를 왜 만드셨어요? 
  •  : 그건 움직임의 원칙 3에 의해 느끼기 위한 목적에서 ‘느낌은’ 正, 分, 合에 의한 상대와의 부딪침(최선=0)에서 서로의 질량 구조가 드러나는 건데. 
  • 너희는 그 ‘부딪침에 의해 드러난 질량의 한계(차이)를 불편하다고 느끼는’ 것이다. 
  •  
  • ♧ : 그럼? 지금 이 우주가 원하시는 우주 맞아요? 
  •  : 그럼 맞지! 
  • ♧ : 죄(罪)와 악(惡)이 넘쳐나는 지금의 인류사회로 보아 아닌 거 같은데요? 
  •  : 아니다. 나의 우주창조는 완벽(0)한 과정으로 흐르고 있다. 아직 때가 안됐을 뿐이다. 
  • ♧ : 그래요? 
  •  : 나의 창조 목적은 나와 상대적(分)이지만, 같은 질인 전지(全知=앎) 전능(全能)한 인간인데, 
  • ① 지금의 너희들은 육체 창조는 끝났으나, 
  • ② 영혼(핵=앎) 창조는 앎이 미완성이어서 너희는 전지(全知)하지 않아, 전능(全能)하지 못하다. 
  • 너희들이 신의 체질인 二分法 正, 分, 合을 아직은 몰라서(無知)! 
  • 움직임의 원칙 3에 의해 개체구조인 너희는 무지(無知 )로 태어나 전지( 全知) 전능( 全知)에 이르는 앎의 성장과정이 있더구나,
  •  
  • ♧ : 그렇다면 애초에 인간이 신의 체질인 二分法 正, 分, 合을 알고 태어나게 하시지 그랬어요? 
  •  : 그럴 수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겠냐? 
  •  ♧ : 그럼, 우주를 창조하시기 전에는 우리가 무지(無知)로 태어나 성장 과정이 있을 것을 모르셨나요? 
  •  : 전혀 몰랐다. 
  • ♧ : 아니? 전지(全知=0) 전능(全能=0)하시다면서요? 
  •  
  •  : 내 체질인 3위1체 正, 分, 合은 먼저 목적을 정해야,
  •  그 목적으로 인해 변화될 상황을 완전(0)히 알 수 있거든. 
  • 목적(正)을 정하지 않으면 과정이 없어 결과(合)도 없어 알 수 없기 때문이다. 
  • ♧ : 아, 그런 거예요? 
  •  : 그래서 구약성경 창세기에 내가 우주 창조를 후회했다고 했다. 
  • 창조하고 보니 너희 영혼은 앎의 성장이라는 과정이 있더구나, 
  • 그리고 그 과정이 엄청 힘들고! 오죽하면 그런 말을 했겠냐?
  • ♧ : 성경 창세기에 그 구절이 그런 뜻이었어요? 
  •  : 너희들도 무지(無知)로 태어난 너희 아이들에게 正, 分, 合 앎을 성장시켜 보면 내 심정을 알게 된다. 
  •  ♧ : 그게 무슨 말씀이세요? 
  •  : 너희들은 내 자식이 잖냐? 
  • 그러니까. 
  • ① 너희들이 무지(無知)로 태어난 아이들을 20살이 될 때까지 正, 分, 合 앎을 키워 주는 과정이 
  • ② 무지(無知)로 출발한 인류에게 내가 正, 分, 合 앎을 7,000년 간 키워오는 과정의 축소판이다. 
  • 이것은, 너희들이 나와 같은 질이 되려면,
  •  ① 무지(無知)로 출발한 인류를 내(神)가 7,000년 간 正, 分, 合 앎을 키워오며 겪은 체험을 
  • ② 무지(無知)로 태어난 너희 아이들을, 너희가 20년 간 키우며 그대로 겪고 체험해 봐야, 나와 같은 질이 되기 때문이다. 
  •  
  • ♧ : 그러면 마음 비우(0)고 眞(0), 善(0), 美(0)를 체험하는 것 만으로는 부족한가요? 
  •  : 물론이다, 그것도 나(神)와 같은 질(合一)이 되려면 당연하다. 
  • 잊지 마라. 
  • ① 전체성(0)인 나는 개체성이기에 이성(異性)인 너희들을, 너희들이 이성(異性)을 목숨 바쳐 사랑하는 그 이상으로 사랑하며, 
  • ② 너희의 어미와 아비가 아들, 딸인 너희를 목숨 바쳐 사랑하듯, 너희는 나의 아이들이기에, 나는 너희를 그 이상으로 사랑한다. 
  •  
  • ♧ : 아!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유가 있군요. 
  •  : 그래, 너희가 이성(異性)을 사랑하고, 너희가 너희 아이들을 사랑으로 키우는 것은, 내가 너희들을 사랑하는 표상이니, 
  • 그 과정을 너희가 그대로 겪어야 너희에 대한 내 심정을 이해해 나와 같은 질이 되기 때문이다. 
  • ♧ : 대화마다 새롭고 놀랍습니다. 
  •  
  •  : 한 가지 더 얘기해 줄까? 
  • ♧ : 뭔데요? 
  •  : 두뇌질에 새로운 앎이 들어와 기존 앎과 부딪치면 오랜 일들은 차츰 흐려져 잊혀진다. 
  • 그러다가 영혼의 두 번째 본능 ‘제로(0)의 느낌 2’에 의해 어떤 문제에 좀 더 상위 개념을 찾으려(思考) 생각하면, 
  • 개체성이기에 텅 빈 공간에 흩어져 사라져 가던 두뇌 세포의 기억(앎)들에서, 
  • 움직임의 원칙 1, 2, 3에 의해 그 문제와 같은 질의 앎들이 추려지니, 이것이 ‘보다 개량된 상위 개념(0) 앎’이다. 
  • 그래서 인류 역사에서 종교, 문화, 과학, 정치, 경제에 대한 혁신적인 상위 개념 앎은, 두뇌 (육체)가 있는 자연계서만 가능하다. 
  • 이렇게 기억을 추릴 때 영혼의 앎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 왜냐하면, 
  • 움직임의 원칙 5에 의해 육체로 인해 영혼이 생겼을 때는 육체의 핵인 두뇌 기억이 우선이기에, 
  • 그러나 영핵 앎은 흐려짐이 없어 저승에서 기억을 되살리면 처음 느낄 때의 느낌 그대로 모두 나타나는데,
  • 그 느낌은 느낄 때 이미 의미(결과=合)가 있었기에 더욱 상위 개념인 줄거리가 저승에서는 추려지지 않는다. 
  •  
  • ♧ : 그러면 자연계에서 살 때 잊은 기억들은 저승에 가면 모두 다시 기억나나요? 
  •  : 당연하다. 그래서 너희들이 자연계에서 앎이 성장하는 방식과 저승에서 앎이 성장하는 방식은 다르다. 
  • ♧ : 네? 
  •  : ① 자연계에서는 육체 ‘존재목적의 제로(0)’를 중심으로 육체의 5가지 본능과, 영혼의 5가지 본능과, 그동안 두뇌에 학습된 앎이 동시에 正分合(우선순위)이 흐르며 반응한다. 
  • ② 그러나 저승에서는 영혼의 본능 5가지 본능과 흐려지지 않은 그때까지 성장한 앎에 의한 ‘존재목적의 제로(0)’를 중심한 正分合이 흐르며 반응하기에, 
  • ‘이승에서 너희가 무엇을 목적으로 살았고, 어떤 질량의 앎이 성장하였는가?’ 는 저승에서의 너희 삶을 결정한다. 
  • ♧ : 이승의 삶이 그래서 중요하군요. 
  •  
  • [ 참 고 ]
  • 2014년 2월 14일 기사 인간의 뇌, 현재에 맞춰 과거 기억 재편집 
  • (코메디닷컴 기사 입력 2014. 02. 24. 11:45 기사 원문 26) 
  • “기억은 고정된 것 아니야.” 인간은 과거의 기억을 더듬어볼 때 기억 그대로를 떠올리지 않고 현재의 삶과 좀 더 연관이 있는 방향으로 재편성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의과대학원 연구팀에 따르면, 
  • 인간의 뇌는 지난 기억들을 새로운 경험과 조합하고 수정해 과거의 기억을 새로운 기억으로 대체한다. 
  • 현재의 삶에 좀 더 잘 적응하고, 과거의 기억은 잊기 위한 과정이다. 
  • 연구팀은 17명의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MR I) 스캐너를 이용한 촬영을 실시했다. 
  • 이 촬영을 통해 참가자들의 뇌 활동과 눈의 움직임을 측정해 인간의 기억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확인했다. 
  • 실험참가자 들은 우선 컴퓨터 스크린 속 그림에 배치된 물체 168개의 위치를 찾는 작업을 수행했다. 
  • 그리고 연구팀이 제공한 새로운 그림에 앞서 찾았던 물체들을 동일한 위치에 배열하는 작업을 했다. 
  • 연구팀은 참가자들이 물체를 배열하는 작업을 하는 동안 정확한 위치에 물체를 놓지 못하는 실패 패턴에 주시했다. 
  • 그 결과, 연구팀은 인간의 기억은 환경, 사람, 물체와 같은 다양한 요소들이 혼재돼 만들어진 정보에 의해 새로운 기억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발견했다. 
  • 지난 기억들을 끄집어낼 때 현재의 새로운 정보들과 연결을 지어, 현재와 좀 더 관련이 있는 기억으로 편집을 한다는 것이다.
  •  조엔 보스 연구원은 “기억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 조금씩 움직이면서 뇌의 특정 부위에 들러붙게 된다.”며 “매번 기억을 떠올릴 때마다 조금씩 수정된다.”고 말했다. 
  • 또 기억을 수정하는 과정은 해마라는 뇌의 부위가 담당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근본적인 문제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 이번 연구는 신경과학 저널 (Journal of Neuroscience)에 게재됐고, 과학뉴스 사이언스 월드 리포트가 보도했다. 
  • 문세영 기자(pomy80@kormed i.com러나